Clicky
문장공유
동아닷컴|사회

“택배 보관중입니다” 접속 순간 털린다…5억 뜯은 일당 검거

입력 2023-11-20 11:26업데이트 2023-11-20 11:33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악성코드가 설치되는 링크가 담긴 문자메시지. 경기남부경찰청 제공악성코드가 설치되는 링크가 담긴 문자메시지. 경기남부경찰청 제공
검사를 사칭해 전화하거나 악성코드가 담긴 문자메시지를 무작위로 보내 개인정보를 탈취한 뒤 돈을 가로챈 피싱 조직이 경찰에 붙잡혔다.

20일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사기 혐의로 중국 피싱 조직 인출책인 20대 한국인 A 씨 등 2명을 구속하고, 금융거래법 위반 혐의로 통장 대여자 B 씨 등 2명을 불구속 입건해 검찰에 송치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A 씨 등이 속한 중국 피싱 조직은 ‘주소 불일치로 물품을 보관 중입니다’라는 문자메시지에 악성코드가 설치되는 링크를 첨부해 무작위로 발송했다.

이 메시지를 받은 피해자가 링크를 클릭해 프로그램을 설치할 경우 피싱 조직은 피해자 휴대전화 내에 있는 각종 개인정보를 활용해 피해자가 모르는 사이 돈을 계좌이체 했다.

또 이들은 검사를 사칭해 전화하며 “당신의 계좌가 80억 원 상당의 사기 범행에 이용됐다. 현재 대출이 이뤄진 것은 범행 작업이다. 수사 협조를 위해 국민안전계좌로 돈을 보내야 한다” 등의 말로 속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조직은 이 같은 수법으로 지난 5월 16일부터 7월 8일까지 14명으로부터 5억 원 상당을 가로챘다.



이들은 수사기관 추적을 피하기 위해 범죄수익을 인출하고 전달할 대포통장 수십 개를 사용하고, 현금 인출 시 모자와 마스크로 얼굴을 가리는 등 치밀함을 보이기도 했다.

신고를 받은 경찰은 4개월간 추적 수사를 벌여 인출책인 A 씨 등 2명을 검거한 뒤 이 사건 전체를 기획하고 실행한 중국 피싱 조직 총책을 특정해 인터폴에 적색수배를 요청했다.

또 A 씨 등에게 통장을 빌려주고 전체 인출 금액의 10% 상당을 받기로 약속한 B 씨 등 2명도 입건했다.

경찰은 스미싱 피해 예방을 위해 △택배나 모바일 청첩장 등 모르는 문자메시지를 받을 경우 첨부된 링크를 누르지 않을 것 △링크를 열었을 경우 백신 검사를 하거나 휴대전화를 초기화할 것 △개인정보가 노출됐다면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에서 개인정보 노출자 사고 예방 등록을 신청할 것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엠세이퍼’에서 휴대전화 가입현황을 실시간으로 열람하고 온라인을 이용한 신규 가입을 차단할 것 △금융결제원 ‘어카운트인포’에서 무단으로 가입된 본인 계좌를 확인해 볼 것 등을 당부했다.

이혜원 동아닷컴 기자 admin@admin.com>
오늘의 추천영상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댓글 0
닫기
지금 뜨는 뉴스